2021/08


☞ 문서의 내용은 가장 하단 참고문헌 및 사이트를 참고하여 필자가 보기 쉽도록 정리한 내용입니다. ☞ 틀린 내용 및 저작권 관련 문의가 있는 경우 문의하시면 수정 및 삭제 조치하겠습니다. 파이썬이란? 파이썬(Python)은 1990년 암스테르담의 귀도 반 로섬이 개발한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파이썬은 인터프리터 언어로 이해하기 쉬운 구문, 다양한 라이브러리, 높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이썬의 이름은 Monty Python's Flying Circus(몬티 파이썬의 날아다니는 서커스)라는 영국의 유명한 팝업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파이썬의 창시자 귀도는 팝업 코미디 프로그램을 좋아하여,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름으로 파이썬을..


유니티 Script를 작성하다 보면 숫자로 된 문자열을 정수형 혹은 실수형으로 정수형, 실수형을 문자열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렇게 자료형을 변경하는 것을 형 변환이라고 합니다. 묵시적 형 변환과 명시적 형 변환 묵시적 형 변환은 형 변환을 할때 값의 손실이 없는 경우 사용하는 방식으로 정수 값을 실수 값으로 바꾸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묵시적 형 변환의 경우는 특별한 코드 작성 없이 변환을 원하는 변수에 대입만 해주면 됩니다. 명시적 형 변환은 데이터 손실이 있는 경우 위험을 감수하고 형을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실수 값을 정수로 변경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명시적 형 변환의 경우는 형 변환을 위해서는 형 변환할 변수 앞에 자료형을 입력해 줘야 합니다. 만약 float를 int로 변경해야 ..


사칙연산 유니티에서 사칙연산은 우리가 유치원, 초등학교 때 배우는 그 사칙연산이다. 덧셈, 뺄셈, 곱하기, 나누기는 모두 알고 있는 것처럼 직관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우리가 생소한 사칙연산은 % 이다. 여기서 % 는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연산이다. public class NewBehaviourScript : MonoBehaviour { int a = 4; int b = 2; int c; void Start() { c = a + b; // 덧셈 Debug.Log(c); c = a - b; // 뺄셈 Debug.Log(c); c = a * b; //곱셈 Debug.Log(c); c = a / b; //나눗셈 Debug.Log(c); a = 5; b = 2; c = a % b; //나머지 De..


유니티 c# 스크립트(Script) 스크립트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필수 요소입니다. 오브젝트를 움직이거나, 이벤트를 발생하거나, 화면을 전환하는 모든 행동을 스크립트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입니다. 스크립트는 컴포넌트(Component) 형태로 오브젝트에 부착되어 사용됩니다. 따라서 어떤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싶다면 그 오브젝트에 컴포넌트를 부착하여 제어해야 합니다. 유니티는 기본적으로 Transform, mesh Renderer, Box Collider 등 내장 컴포넌트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내장 컴포넌트 만으로 오브젝트를 제어하거나 이벤트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만들어 줘야합니다. 유니티의 오브젝트는 Hierarchy창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를 클릭하면 Inspe..

pytorch에서 keras처럼 summary를 확인하는 함수가 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가 아래의 함수일 것이다. from torchsummary import summary 필자도 torchsummary를 사용하여 model의 summary를 확인했다. 그러나 Hrnet을 설계할 때 값이 리스트 형태로 전달하면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File "\torchsummary\torchsummary.py", line 19, in hook summary[m_key]["input_shape"] = list(input[0].size()) AttributeError: 'list' object has no attribute 'size' 그래서 구글에서 검색 중 github에서 해결 방법을 찾았다. ..